2015년 6월 7일 일요일

센서의 선택방법 - 습도센서.


 습도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의 양 정도를 나태내는 표현입니다. [상대습도]
(http://ko.wikipedia.org/wiki/%EC%8A%B5%EB%8F%84)

 습도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다양한 센서들이 있습니다.

토양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토양습도센서,
대기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기본적인 습도센서,
100% 이상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처리된 습도센서 등이 있으며,

0~100%에 해당하는 습도의 데이터를   전압(V),전류(I),RS232 등의 정보로
바꾸어 전송하도록 고안되어 있습니다.



(이플러스이 코리아의 습도센서)


 이러한 습도센서를 선택하실때 주의 하셔야하는 몇가지를 소개드립니다. 

1. 습도를 측정하는 장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경우 0~80%의 습도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센서를 
선택하셔도 무방하지만,  측정하고자 하는 장소가 고온챔버의 내부이거나, 
80%이상의 습도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해당하는 장소에 알맞는 조건의
습도센서를 선정하여야 합니다. 

 습도가 100%에 가까운 수분환경이라면 센서는 망가지게 되므로, 방수처리가 된 
센서를 구매하는것이 옳습니다. 


2. 센서의 출력타입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데이터로거나, 인디게이터는 전압타입의 출력을 지원합니다. 
전압타입은 습도센서와 데이터로거 사이의 거리가  수 미터 내외일 경우에는 
만족스러운 데이터값을 나타내지만,  전송거리가 길어질수록  전압드랍에 의해
데이터값의 신뢰도는 낮아집니다.     

 이럴경우에는 전류타입의 출력이나, 데이터통신을 출력해주는 센서를 선정하여야
데이터의 신뢰도를 충분히 높일수 있습니다. 


 3. 디스플레이의 유무.

 실내습도 측정의 경우, 디스플레이가 있는 타입의 습도센서를 선택하시면,
실시간의 습도를 별도의 PC없이도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만, 
금액대가 상승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라면 일반센서를
선택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위와 같은 습도센서의 선정이 끝나고, 습도센서의 데이터수집이 필요할경우
채널에 맞는 계측기를 선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면 됩니다.




 각종 센서나, 데이터 수집에 관한 궁금증은  
이메일 tlfj35@naver.com  이나   휴대전화  010-9731-3570 으로 문의주십시오.


2015년 5월 17일 일요일

CAN 통신이 가능한 Q.station



 간트너사의 컨트롤러 Q.station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띄는 기능은 CAN 통신을 손쉽게 세팅이 가능합니다.


간트너의 아날로그 디지털 입력신호들을  CAN통신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지원하여,
온도,전압,스트레인등의 수집한 데이터를 원하는 규약의 CAN통신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들도 지원하며,

 두대의 Q.station을 통해 캔시뮬레이터와 캔 컨버터 기능으로 사용하는것도 가능합니다.


Q.station 데이터시트 <--다운로드



 제품에 대한 문의사항은

 이메일 주소 tlfj35@naver.com
 휴대전화  010-9731-3570 으로 전화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5년 3월 23일 월요일

온도 노이즈 보상대책.


 많고 많은 시그널중 가장 잡기가 어려운것은
온도센서인듯 합니다.   그중에서도 서머커플은
미소전압을 측정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라
모터나, 인버터등의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장비의 근처에서
측정을 하게 되면, 노이즈를 심하게 타는 증상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이산평균필터나 로우패스필터등을 추가하여,
데이터를 받을수는 있지만, 장비의 필터기능이 만족스럽지 않거나,
필터를 통해서도 노이즈가 잘 처리 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경우에는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해야 합니다.

 인버터와 가까운 거리에, 계측기나, 온도센서가 지나야 한다면.
인버터를 멀리 이동을 하시거나, 이동이 불가능 하다면,
인버터의 와이어와 온도센서를  열십자(十)로 지나가게 하여,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도록 만듭니다.

 호이스트크레인이 설치된 현장에서는, 호이스트를 기동할 경우
전력소비가 커지고, 전원선을 따라 전원노이즈가 투입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능하면, 호이스트와 계측기가 사용하는 전원을 분리하거나,
배터리를 이용해, 계측기를 기동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호이스트의 전원노이즈를 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서머커플의 온도센서는 기전력을 이용하는 관계로, 미세하게 흐르는 누설전류를
직빵으로 타고 먹을경우, 계측장비에도 문제가 생길수 있으므로,
플라스틱으로 실드 처리가된 온도센서를 사용하여, 전기가 흐르는 금속체등에서
효과적인 노이즈해결이 가능한 사례들이 많습니다.


 노이즈를 잡는것은 생각보다 쉬운일은 아니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노이즈가 잡히는 경우보다 물리적으로
노이즈를 잡아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노이즈가 심한현장에서는 채널간 절연이 충분히 잘 되어져 있는 장비들을 이용해
측정을 하는것도 한가지 방법이 됩니다.


 DT9828은  USB 전원만으로 동작하여, 전원노이즈로부터 자유로우며, 
8채널의 온도센서를 읽을수 있습니다. 





2015년 3월 3일 화요일

데이터로거란 무엇인가??


 데이터로거는 생소한 이름입니다.
계측을 하는 장비라는건 알겠는데, 정확히 뭘 하는지도 모르겠고.
내가 사용하려는 목적에 맞게 쓰려면 어떤걸 사야하는지도 모르겠고,
게다가 가격도 수백~수천만원까지 하니....
구입하는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마트 화장실이나, 고속도로 화장실을 다니면 아래 그림과 같은 청결리스트들을
본적이 있으실겁니다.

15가지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오전, 오후 2차례에 걸쳐서 체크를 하고 
이런 작업을 월~토요일까지를 반복하고,  리스트에 기록합니다. 


수집하고자 하는 데이터 항목은 15가지. = 15채널. 
데이터 수집주기   =   오전1회 오후1회  총2회 (샘플링 하루 2번) 


15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하루2번 측정하는 장비가 있으면, 리스트를 작성하는 시간을
대체하는것이 가능합니다. 

이런 경우야 사람이 수기로 하는것이 더 수월할수도 있겠지만.
식품을 보관하는 창고의 온습도를 측정하거나. 
24시간동안 데이터를 계속 기록해야하는 경우, 데이터로거의 필요성이 더
느껴지실것입니다. 


 데이터로거등의 문의사항은 아래의 연락처로 전화주시면 
최선을 다해 도움을 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031-627-2760 

2015년 2월 24일 화요일

GL820


GL820의 사양


  1. 20채널의 입력채널 (확장시 200채널 사용가능)
  2. 전압(0~50V) , 온도(서머커플,RTD) , 습도, 디지털 측정가능. 
  3. 5.7인치의 디스플레이 
  4. 자체적인 데이터수집 가능 (최고 샘플링 10ms)
  5. USB, 이더넷으로 PC와의 접속 가능
  6. 2GB의 내장메모리 
  7. USB메모리를 이용해 메모리확장 가능 


제품문의 :  031-627-2760 
             010-9731-3570

GL220



 GL220  사양 



  1. 10채널의 입력단자
  2. 전압(0~50V) , 온도(서머커플) , 습도, 디지털 측정가능. 
  3. 4.3인치의 디스플레이 
  4. 자체적인 데이터수집 가능 (최고 샘플링 10ms)
  5. USB, 이더넷으로 PC와의 접속 가능
  6. 2GB의 내장메모리 
  7. USB메모리를 이용해 메모리확장 가능 

제품문의 :  031-627-2760 
             010-9731-3570

휴대용 데이터로거 GL220 GL820


 계측기를 사용하는 환경이 이동이 잦거나, 외부의 현장이나
차량내부등, PC설치가 어렵거나, 데이터를 측정하는 현장의 이동이 잦은경우
휴대성이 좋은 장비를 찾습니다.

 그라프텍에서 발매된 GL 시리즈는 4인치 이상의 액정과  2기가바이트의
내부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어서, 이동이 잦은 현장에서 사용하기가 좋습니다.

<10채널모델 - GL220>
스펙확인

<20채널모델-GL820>
스펙확인


 사용하시는 채널에 따라서 220모델과 820모델을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제품문의 : 031-627-2760 
            010-9731-3570


2015년 2월 16일 월요일

DT9828!! 8채널 온도측정기, 온도데이터로거

※ 8채널의 아날로그 입력
모든타입의 서머커플 지원
   (B, E, J, K, N, R, S,T 타입)
※ 156mV 전압 입력지원
24비트의 높은 해상도
열전대 노이즈 0.1
   분해능 0.09
최대 600샘플링 
   (8채널 사용시 75샘플링)
별도의 전원없이 USB 전원으로 단독 구동 가능
무료로 사용가능한
    QuickDaq 소프트웨어
Matlab , Labview 드라이버 지원

※ 500V 의 갈바닉 절연 (장비-PC )


문의 전화 : 031-627-2760 [인덱스티엠]

2015년 2월 12일 목요일

[온도측정] 써머커플 사용방법.


 산업현장의 온도측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온도센서는

와이어타입의 온도센서 입니다.


 가장 흔하게 쓰이고 많이 쓰이지만, 실제로 온도센서를 보면 단순한 전선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피복하나의 두가닥의 선이 있습니다.
제조사별로 조금 상이하지만 보통 붉은색의 소선이(+)
다른색상의 소선은 (-) 입니다.  

계측기에 소선들을 연결하고, 측정을 하고자하는 부분의 끝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꼬아서 테스트 하거나




<온도센서 와이어(TC) >


 비드용접기(열전대용접기) 를 이용하여, 측정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열전대를 많이 사용하시는 유저라면 열전대용접기를 구비하여, 테스트의 신뢰도를
높이는것이 좋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2015년 2월 11일 수요일

계측기 선정.



 알쏭달쏭한 계측기의 선택....


 계측기쪽의 영업을 하다보니, 계측기를 구입하고자 하는 유저들중에
계측기의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유저들이 많습니다.


 유저가 원하는 바를 잘 알지못하면, 다양한 제품들중 딱히 하나를 선택해드리는것이
쉽지가 않습니다.
풍부한 예산이 있다면, 높은 스펙의 다기능의 제품을 추천해드리면 되겠지만,
정작 제품을 사용하는데가 실내의 온습도 측정정도라면
오버스펙의 비싼 온습도계 밖에 되질 않습니다.

 영업사원의 입장에서야, 비싼 제품을 팔아서, 성과를 올리는것이 좋겠지만
유저의 입장에서는 그 장비를 구입하는데에 예산을 너무 많이 투자를 해버려,
정작 필요한 제품을 구입할때는 아쉬운 부분이 발생하기도 하겠지요.



 지금부터 계측기를 구입함에 앞서서, 필요한 사항들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측정하고,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대상을 명확히 하라.

 - 유저가 요구하는 사항을 만족하는 장비를 찾기위해서는 측정대상의
  명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무게를 측정하고자 합니다.
라는 힌트를 얻어서, 100키로까지 측정이  가능한 저울을 판매했습니다.
 유저는 무게를 측정하는 장비를 샀으니, 무게를 재려고, 300킬로의 쇳덩이를
올려봅니다.  장비는 보나마나 망가질것입니다.



 " 쇳덩어리의 무게를 측정할것이고, 300킬로그램정도 되는 무게입니다.
  그 이상의 무게를 측정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라는 정보를 정확히 얻어냈다면, 0~500킬로그램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이용해서
유저의 요구사항에 들어맞는 계측기를 추천하는것이 좋습니다.  



2. 측정대상을 얼마나 정밀하게 측정할것인가??

 무게측정을 예로 들었으니, 무게측정으로 관련된 내용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위 제품의 성분표를 확인해보면 나트륨이 50mg 입니다.
저렇게 적은 무게를 측정하려면, 일반적인 저울로는 측정하기가 매우 까다롭습니다.
(실제로 저만큼을 계량하여 투입하지는 않겠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저울이 아닌 제빵사들이 사용하는 저울의 경우
100g 정도까지 측정이되고, 눈금단위나 디지털로 아주 낮은물리량을 측정하는
저울이 있습니다.  

100Kg 을 측정하는 저울로 측정하는 10g 과
100g 을 측정하는 저울로 측정하는 10g의 경우
정밀도 부분에서 100g 짜리 저울이 훨씬 더 정밀하고, 만족스러운 결과값을 나타냅니다.

특수한 경우 100Kg을 측정하는 저울이지만 100g 저울보다도 더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제품들이 있습니다.  

 가격이 그만큼 더 정밀해지겠죠...  


 계측기의 선정에 있어서도, 정밀도의 중요성에 따라 좋은 제품을 추천하시거나,
구입하시는것이 좋으리라 생각됩니다.